246
Views
7
CrossRef citations to date
0
Altmetric
Original Articles

The Postcolonial Politics of Food: Creating ‘Locality’ through Local Knowledge

Pages 7-38 | Published online: 04 Jan 2016
 

Abstract

In the 21st century, food has become a cultural signifier of ethnicities or regions and an active consumer product in a globalizing world. States or regional governments also support ethnic or regional foods as economic resources. During modernization, the Korean diet came under the scanner of nutritional and medical sciences. Therefore, dietary habits became part of the modernization policy of the state. State-led programs for improvements in dietary life were conducted and campaigns for dietary improvements in which nutritionists emphasized the daily intake of protein and calories were implemented. The western diet, which was considered scientific and nutritious, was introduced as a superior and model diet. Korean food, which was thought of as inferior from scientific and nutritional perspectives, came to be signified in a new way in the new discourses during the process of globalization in the 1990s. In the West, which saw an era of chronic diseases because of over nutrition and obesity, health provided an important context for food discourses and Korean food was re-positioned in a new way by the discourse on health. This paper explores the process of how the indigenous food of Jeju is constructed, the process of how, as slow food in the 21st century, it has become a symbol of health and ecological food. At the same time, this paper seeks to show the ability and know-how of Jeju women, who have cooked everyday, and became involved in the discourse on their local food.

Abstract in Korean

본 논문은 음식담론을 통한 한국사회의 탈식민 과정에 대한 연구이 다. 특히 다양한 메카니즘에 의해 공간적 차이가 사라지는 지구화시 대에 지역의 차이를 만들어내고 또 지역을 구분지으려고 하는 ‘향토 음식’담론이 수행하는 음식의 탈식민 정치 그리고 지역성의 생산과정 을 다루고자한다. 이를 위해 먼저 한국음식이 근대화/서구화/과학화 담론 속에서 식민화되어 가는 과정 그리고 영양/과학담론을 통해 국 가의 근대화 정책에 깊이 통합되어 왔음을 드러냈다. 한국음식에 대 한 한국사회의 관심은 서구에서 서양음식에 대한 비판과 함께 한국음 식을 건강음식 그리고 대안음식으로 발신되면서 부상했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지역의 고유성을 만들어내고 지역을 상품 혹은 자원으로 전 환시키는 ‘향토음식’ 담론 또한 지역의 관광산업정책의 틀 내에서 등 장한다. 제주 향토음식에 대한 지역 내 담론을 다룬 본 연구는 향토음 식을 개발하는 제주 지역 내 전문가들은 관광자원으로서 향토음식을 개발하는 것을 넘어 근대/서구 음식의 대안으로 그리고 지역의 생태 적 지식을 다시 복원하고 지역을 새롭게 재지형화하는 프로젝트로 향 토음식사업을 수용하고 있었다. 그들은 시장의 필요에 의해 만들어진 향토음식 담론을 생태적이고 문화적인 지역기반의 실천으로 접근하 면서 음식을 요리학 혹은 미각에 대한 관심으로 이동시키고 있었다. 그러면서 음식의 탈식민화 과정을 경험하고 있었고, 음식을 지역성에 기반한 로컬지식으로 만들어내고 있었다. 향토음식에 대한 제주의 담 론은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소비상품으로서의 음식을 삶의 양식을 바 꾸는 문화생태운동으로 그리고 미각운동으로 새롭게 지역성을 성찰 하고 생산하는 정치적 과정이다

Reprints and Corporate Permissions

Please note: Selecting permissions does not provide access to the full text of the article, please see our help page How do I view content?

To request a reprint or corporate permissions for this article, please click on the relevant link below:

Academic Permissions

Please note: Selecting permissions does not provide access to the full text of the article, please see our help page How do I view content?

Obtain permissions instantly via Rightslink by clicking on the button below:

If you are unable to obtain permissions via Rightslink, please complete and submit this Permissions form. For more information, please visit our Permissions help page.